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며 기록하기

(4)
파이썬으로 코호트 분석해 보기 파이썬 코호트 분석 코드 보러가기 GitHub - MINGKI-PARK/Workspace: Workspace Workspace. Contribute to MINGKI-PARK/Workspace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코호트 분석이란? 특정기간 동안 유사한 행동패턴을 나타내는(동일한 성격을 가진) 고객들을 그룹화하여 분석하는 방법. 코호트 분석을 하는 이유 코호트 분석을 통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른 사용자의 유지, 이탈을 파악할 수 있다. 분류된 고객별로 행동 패턴 차이를 분석하여, 각 집단에 맞는 마케팅 경로를 설계할 수 있다. 비즈니스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기 때문! → 포괄적인 지표로는 알 수 없는 사실을 ..
[주피터 노트북]머신러닝으로 Iris 품종 분류해보기 머신러닝으로 Iris의 품종 분류하기¶ Table of Contents 1 1 문제 정의2 2 데이터 준비2.1 2.1 데이터 확인하기2.1.1 2.1.1 data2.1.2 2.1.2 feature_names2.1.3 2.1.3 target2.1.4 2.1.4 target_names2.1.5 2.1.5 filename2.1.6 2.1.6 DESCR2.2 2.2 데이터 시각화2.3 2.3 데이터 나누기3 3 모델 구현3.1 3.1 모델 생성하기3.2 3.2 모델 학습하기4 4 검증5 5 다른 모델 사용해보기5.1 5.1 랜덤포레스트5.2 5.2 Support Vector Machine (SVM)5.3 5.3 Stochastic Gradient Descent Classifier (SGDClassifier)5..
kNN(k-최근접 이웃)과 이웃처럼 지내보기 데이터 분류에 사용되는 아주 간단한 지도학습 알고리즘 상대적으로 이해하기 쉽지만, 다른 알고리즘에 비해서 연산 속도가 느리다. k-최근접 이웃 알고리즘의 이해 핵심은 '이웃' 이웃은 나와 가까운 거리에 사는 사람들을 뜻함 알고리즘에서 이웃이란 가까이 존재하는 데이터들을 의미 따라서 kNN 알고리즘이란 현재 데이터를 특정값으로 분류하기 위해 기존 데이터 안에서 현재 데이터로부터 가까운 k개의 데이터를 찾아 k개의 레이블 중 가장 많이 분류된 값으로 현재의 데이터를 분류하는 알고리즘 예시 만약 서울 어딘가에 데려다 놓고 이곳이 강남인지 강북인지 알려면? 주변에 보이는 가까운 사람들에게 똑같은 질문을 던져서 많은 답을 얻은 쪽으로 대답하는 한다. 주변 5명에게 물어 4명이 강남, 1명이 강북이라고 대답했다면 ..
[노션] 인터넷에 있는 각종 정보를 노션으로 스크랩해 보자! 1. 굳이 이걸? 노션의 웹 클리핑 기능은 인터넷에 있는 각종 자료를 스크랩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웹사이트를 돌아다니다 중요하다고 생각되거나 언젠가 다시 읽으면 좋을 자료가 보이면 웹 브라우저의 즐겨찾기로 등록하곤 한다. 모든 이렇게 웹사이트 주소를 즐겨찾기로 저장하다 보면 이후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찾아 확인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노션의 웹 클리핑 기능은 웹 페이지를 노션에 직접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활용해 편하게 관리할 수도 있다. 2. 준비하기 사용하려면 먼저 노션 웹 클리퍼를 설치해야 한다. 노션 웹 클리퍼는 크롬 또는 파이어폭스에서만 작동되므로 해당 웹 브라우저를 먼저 설치한 후 아래 과정을 진행해야 한다. 2.1 크롬을 실행한 후 크롬 웹 스토어에 접속한다. 2...